Q의예수이야기-최초의내러티브신학을찾아서 (최초의 내러티브 신학을 찾아서)
김재현 저 | 한국학술정보 | 2009. 315 페이지
Q에 내포된 짧은 예수 이야기는 비록 그 길이가 짧고 이야기의 기법은 발달되지 못했다. 또한 내러티브는 Q 복음서 전체의 범위에 미치지 못하고 어록적인 구성의 절반을 차지할 뿐이다. 마가복음서를 비롯한 다른 내러티브 복음서의 발달된 기법에도 미치지 못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Q에 포함된 예수 이야기는 하나님 나라 백성을 모으려 했고, 또한 거절을 경험해야 했던 예수에 대한 감동적인 이야기를 전해 준다. Q에 내재된 이러한 예수에 관한 짧은 이야기는 Q를복음서라고 부르는 것이 합당하다는 사실을 확인시켜 준다. Q의 전반부를 차지하는 예수 어록의 이야기적 구성은 Q 복음서의 어록들을 어떻게 읽어야 할지 지도하는 가이드 역할을 한다. 필자는 이 이야기를 공부하면서 최초의 예수 이야기를 접할 것 같은 기대와 흥분을 온몸으로 경험했다. 이 경험이 엄청난 기쁨이었다는 필자는 이 책을 통해 국내에 활발하게 논의되지 않은 서구의 Q 연구를 간략하게 소개했다. 2장 Q내러티브에 관한 '연구사적 고찰'과 3장 'Q 내러티브의 범위 설정과 본문 번역'은 전문적인 영역이다. 전문적인 논의에 관심이 없는 독자들은 3장의 Q 내러티브 본문의 번역부분만 읽고 난 후 곧장 4장부터 읽는 것도 좋다고 생각한다. 부록으로 제3시대 그리스도교 연구소 월례포럼에서 발표했던 [최근 Q 연구동향]을 수정해서 실었다.
Q에 내포된 짧은 예수 이야기는 비록 그 길이가 짧고 이야기의 기법은 발달되지 못했다. 또한 내러티브는 Q 복음서 전체의 범위에 미치지 못하고 어록적인 구성의 절반을 차지할 뿐이다. 마가복음서를 비롯한 다른 내러티브 복음서의 발달된 기법에도 미치지 못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Q에 포함된 예수 이야기는 하나님 나라 백성을 모으려 했고, 또한 거절을 경험해야 했던 예수에 대한 감동적인 이야기를 전해 준다. Q에 내재된 이러한 예수에 관한 짧은 이야기는 Q를복음서라고 부르는 것이 합당하다는 사실을 확인시켜 준다. Q의 전반부를 차지하는 예수 어록의 이야기적 구성은 Q 복음서의 어록들을 어떻게 읽어야 할지 지도하는 가이드 역할을 한다. 필자는 이 이야기를 공부하면서 최초의 예수 이야기를 접할 것 같은 기대와 흥분을 온몸으로 경험했다. 이 경험이 엄청난 기쁨이었다는 필자는 이 책을 통해 국내에 활발하게 논의되지 않은 서구의 Q 연구를 간략하게 소개했다. 2장 Q내러티브에 관한 '연구사적 고찰'과 3장 'Q 내러티브의 범위 설정과 본문 번역'은 전문적인 영역이다. 전문적인 논의에 관심이 없는 독자들은 3장의 Q 내러티브 본문의 번역부분만 읽고 난 후 곧장 4장부터 읽는 것도 좋다고 생각한다. 부록으로 제3시대 그리스도교 연구소 월례포럼에서 발표했던 [최근 Q 연구동향]을 수정해서 실었다.
계명대학교 교양과정학부 시간강사
박사학위논문 「Q의 예수 이야기: Q에 대한 서사비평적 연구」(2008)
목차1장 서론
2장 연구사적 고찰
A. 고전적 연구 시기: 아이히호른에서 부쓰만까지
B. 양식사와 전승사: 디벨리우스에서 쾨스터까지
C. 편집사, 형성사, 구성사: 뤼어만에서 앨리슨까지
D. 2000년 이후 연구: 훌트그렌에서 플레더만까지
E. 요약과 평가
3장 Q 내러티브의 범위 설정과 본문 번역
A. Q 내러티브의 범위 설정하기
B. 사토와 앨리슨 이론의 공통점과 차이점
C. 비판적 종합
D. Q 내러티브의 범위 재구성
E. Q 내러티브의 본문 및 번역
F. 요약과 평가
4장 Q 내러티브의 플롯
A. 사건
B. 인과관계
C. 플롯과 갈등
D. 플롯과 장르
E. 요약과 평가
5장 등장인물
A. 등장인물에 대한 서사적 이해
B. 예수
C. 세례 요한
D. '이 세대'
E. 부수적 등장인물
F. 요약과 평가
6장 배경
A. 공간적 배경
B. 시간적 배경
C. 사회적 배경
D. 요약과 평가
7장 화자
A. 화자에 대한 서사적 이해
B. 들려주기
C. 시점
D. 내다보기와 돌아보기
E. 다른 문학적 요소들
F. 요약과 평가
8장 독자
A. Q 공동체 이론과 '복음서 공동체 논쟁'
B. 내포독자
C. 감정이입, 공감, 반감을 통한 독서경험의 재구성
D. 내러티브의 끝
E. 요약과 평가
9장 결론
참고문헌
부록: 최근 Q 연구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