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자유게시판

클라우스 베르거 예수

작성자 : 관리자
조회수 : 448

클라우스 베르거 지음,  예수 ,   전헌호 옮김  

성바오로출판사,  2012, 590면


신약성서학자인 클라우스 베르거는 초기교회연구, 양식사적 방법론, 역사비평적 방법론, 성경주석 연구, 종교역사연구, 해석학, 종말론 연구, 신학역사 연구, 성경번역과 같은 복합적인 연구로 신학의 발전에 기여한 공로가 크다. 이러한 대학자가 60세가 넘어서 그동안 쌓아온 자신의 학문적 역량을 총동원하여 저술한 책이 「예수」다. 베르거는 이 책을 저술하기 이전에 이미 「예수는 참으로 누구였을까?」「기적을 믿어도 될까?」「신약성경의 보도는 진실일까?」등과 같은 진실을 철저하게 찾아가는 책들을 50여권이나 출간했다
그가 자신의 신앙적, 학문적, 인간적 역량들을 총동원하여 들려주는 예수님에 관한 이야기가 독자들에게 그분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마침내 예수님을 좀 더 이해하고 사랑하여 자신의 삶 안으로 모셔 들이는 데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1부

도입

1장 전기 짜 맞추기_내 삶의 예수상像

2장 서막 _ 예수 이야기를 어디서부터 시작할 것인가?
2.1 성경으로부터 시작하기 38 / 2.2 다른 사람들로부터 시작하기 46
/ 2.3 시간으로부터 시작하기 53 / 2.4 종말에서부터 시작하기 57

3장 예수의 허구虛構에 관하여
3.1 신화로서의 복음 60 / 3.2 역사가들의 진리와 신앙인들의 진리 65
/ 3.3 데카당구조인가, 일방통행으로서의 역사인가 69 / 3.4 모두가 진
실인가, 어느 정도까지만 진실인가 72

4장 온전한 인간? 반신半神반인半人? 또는 다른 어떤 존재?
4.1 요셉, 주석학적 친자 확인 76 / 4.2 누구도 완벽하지 않다-그렇다
면 예수는 83 / 4.3 ‘예수는 하느님의 아들’이란 무슨 뜻인가 86 / 4.4
구원의 친밀함 92 / 4.5 위로부터의 빛 95 / 4.6 예수의 변모-복음의
감추어진 축 101 / 4.7 아들의 파견 111 / 4.8 하느님 선물로서의 예수
116 / 4.9 물 위를 걷다-신비로 가득 찬 예수의 몸 121 / 4.10 예수가 죄
를 사할 수 있을까 126 / 4.11 하늘로 가는 고된 길_예수에 대한 불쾌
감 131 / 4.12 라자로의 도발 138 / 4.13 불쾌한 용서 143

5장 예수는 하느님에 대해 어떻게 생각했을까?
5.1 하느님에 관한 동화 150 / 5.2 당혹스럽게 하는 예수 157 / 5.3 예
수, 거룩한 하느님, 사로잡는 하느님 170 / 5.4 예수와 정의롭지 않은
하느님 179 / 5.5 충족되지 않는 마음의 동경 189 / 5.6 예수와 종교 간
의 관용 197 / 5.7 예수와 삼위일체 하느님 206 / 5.8 예수로부터 기도
를 배울 수 있을까? 212

6장 예수와 인간적인 행복
6.1 희생자 입장에서 234 / 6.2 예수, 남자, 여자, 부부, 아이들 244 /
6.3 예수, 포도주와 삶의 기쁨 261 / 6.4 단식과 축제 273 / 6.5 혼인과
축제 예복 287 / 6.6 쇠진-또는 예수의 테라피 292 / 6.7 예수의 친구
들-하느님의 정원에 대한 묵상 299 / 6.8 통상을 거부하는 그리스도
교 305 / 6.9 예수의 지혜 313 / 6.10 예수와 이타주의자 327 / 6.11 자
아실현을 위한 우회로 337 / 6.12 예수의 자아실현 343 / 6.13 독신제
와 십자가의 치욕 345

7장 예수와 여인들
7.1 예수와 어머니 마리아 356 / 7.2 여인들-악마의 유혹? 360 / 7.3
여인, 사랑, 성 363 / 7.4 예수 가계의 부정한 여인들 368 / 7.5 여인과
돈 370 / 7.6 간음한 여인 374 / 7.7 임신부들의 연대 376 / 7.8 마리아
막달레나의 눈물 383

8장 마귀에 대한 예수의 태도
8.1 악 또는 악마 388 / 8.2 해방을 위한 헌신 393 / 8.3 더러운 영을
물리치는 힘 398 / 8.4 예수와 사탄 402 / 8.5 첫 유혹과 마지막 유혹
407 / 8.6 악마 체험 407 / 8.7 정치에 스며든 악마 409 / 8.8 예수, 천
사, 보호하시는 하느님 411

9장 예수와 인간적 고통
9.1 예수의 하느님은 냉소적인 분인가 422 / 9.2 전지전능하신 분의 부
재 432 / 9.3 최종적인 질문-성경의 대답 438 / 9.4 세상의 고통과 예
수의 방관 480 / 9.5 고통을 받아야만 했던 예수 484 / 9.6 아버지와
예수의 죽음 491 / 9.7 고통-신앙고백에 대한 시험 496

10장 예수의 정치적 구상
10.1 산상 설교의 의미 504 / 10.2 산상 설교에 따라 국가를 통치해야
하는가 508 / 10.3 예수와 함께 국가를 건설해야 하나 515 / 10.4 예수
의 사회적 프로그램 526 / 10.5 예수와 권력 추종 530 / 10.6 예수가 원
하는 근본 543 / 10.7 불의에 맞섬과 그 한계 548 / 10.8 예수의 어긋난
표상들 550 / 10.9 윤리와 종교의 차이 553 / 10.10 모든 것을 한판에
걸기 559 / 10.11 부르심과 따름 565 / 10.12 자원 관리 570 / 10.13 규
정에만 충실하면 되는가 575 / 10.14 숙면을 취한 그리스도인들 579 /
10.15 예수의 지나친 요구 583

2부

11장 행동하는 예수
11.1 예수는 평화주의자인가 / 11.2 예수와 폭력 / 11.3 평화의 성경적
구상 / 11.4 평화·차단의 기술 / 11.5 평화의 전제조건 / 11.6 내 안의
낯선 것 / 11.7 예수의 휴머니즘 / 11.8 낯섦의 해석학 / 11.9 낯선 예수
와 인권 / 11.10 비이성적인 성경 / 11.11 기적은 상징인가, 사실인가 /
11.12 예수에 대한 착각 / 11.13 치유의 종교, 그리스도교

12장 예수와 유다인들
12.1 예수는 반유다주의자인가 / 12.2 바리사이와 다른 위선자들 / 12.3
유다인들과 예수 / 12.4 예수와 성전 / 12.5 선민 이스라엘 / 12.6 열둘
의 비밀 / 12.7 예수와 모세 / 12.8 예수와 유다교 / 12.9 예수와 쿰란공
동체 / 12.10 메시아 예수와 유다인 / 12.11 종말의 종착점 / 12.12 믿음
없는 유다인, 믿음 없는 신앙인

13장 예수와 돈
13.1 돈인가, 사랑인가 / 13.2 영적 교환 / 13.3 가난한 이들의 선물 /
13.4 가난운동의 선봉자, 예수 / 13.5 부자는 하늘나라에 갈 수 없는가

14장 예수와 진리
14.1 관대한 예수와 관대하지 못한 교회 / 14.2 이성적 진리와 예수의
진리 / 14.3 예수와 붓다 / 14.4 예수와 공자 / 14.5 예수와 무함마드 /
14.6 예수만 믿으면 구원되는가 / 14.7 예수 신앙과 새로운 계시

15장 예수와 교회
15.1 서막_해방신학의 순환논증 / 15.2 예수와 교회 설립 / 15.3 포도나
무-예수와 교회 / 15.4 파견한 사람 뒤에 선 예수 / 15.5 제명 / 15.6 교
회 안의 불명확한 사항 / 15.7 예수와 교회들 / 15.8 예수와 교회 역사
의 과오

16장 예수의 큰 표징들
16.1 빵과 포도주의 표징 / 16.2 성찬식은 식인행위인가 / 16.3 성체성
사의 거룩함 / 16.4 두 종파, 하나의 성찬 / 16.5 성찬식의 천상적-세
속적 차원 / 16.6 성체흠숭의 의미 / 16.7 세례의 표징과 세례의 작용

17장 예수와 함께 죽을 수 있을까?
17.1 물 위를 걸어간 사람 / 17.2 하느님 앞에 서기 위하여 / 17.3 부록_
베드로에게 보내는 편지 / 17.4 탄생과 죽음 / 17.5 죽음의 기술 / 17.6
의사 예수 / 17.7 예수의 죽음 / 17.8 하느님과 우리 사이의 예수

18장 삶의 승리
18.1 끝, 새로운 시작이 되다 / 18.2 새 창조의 시작 / 18.3 부활의 기쁨
과 부활의 근거들 / 18.4 우리의 의심을 풀어 주는 예수

19장 예수는 오늘날 무엇을 할 수 있을까?
19.1 예수는 그리스도교 교파들을 일치시킬 수 있을까 / 19.2 예수는
낙태아에 대해 어떤 말씀을 하실까 / 19.3 예수는 우리의 정치적 상황
을 어떻게 보실까

20장 대단원
20.1 세속적인 삶과 영원한 삶 / 20.2 묵시록적 미래 예언의 의미 / 20.3
두려움 한가운데 구원의 주님이 나타나다 / 20.4 지나간 시간과 새로
운 시간 / 20.5 권력의 재분배 / 20.6 현재로서의 미래 / 20.7 세상의 개
조 / 20.8 하느님은 우리를 만나러 오신다

마치는 말 :그러나 가장 큰 것은 사랑이다. 예수 사랑

    

클라우스 베르거

1940년 11월 25일 독일 힐데스함임에서 태어났다.
뮌헨대학교와 함부르크대학교에서 수학했으며,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1970년부터 1974년까지 라이덴에 있는 대학교에서 강의했고, 1974년부터 하이델베르크대학교에서 신약학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 「Exegese des Neuen Testaments」(1988),「Exegese des Neuen Testaments」(1991),「Ist Gott Person?」(2004), 「Bilder des Himmels」(2006),「Die Briefe des heiligen Apostels Paulus」(2008) 등이 있다.

전헌호
1955년 5월 5일 출생.
서울 가톨릭 대학교를 졸업.
오스트리아 빈(Wien)대학교에서 석, 박사.
유학 중 1985년 사제 서품.
경북 하양 천주교회 주임 신부를 역임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