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회원학술활동

김덕기.『바울의 문화신학과 정치윤리: 바울서신』. 대전: 이화.

작성자 : 관리자
조회수 : 657



---이 책은 바울의 각 서신에 나타난 신학과 윤리의 관계를 변증법적으로 상호연관시켜서 바울의 문화비평적 선교 전략을 새롭게 도출하려 한 시도이다. 목회와 신학, 사회와 기독교, 교회와 신학교를 매개할 수 있는 제 3 의 틈새 공간을 마련하기 위해서 바울의 개인 의식이나 저작 의도가 아니라 당시의 문화의 구조(문화 형식과 사유방식)나 지적 풍토가 바울 사상(신학 윤리, 문화적 상상력)을 형성시켰다고  생각하는 탈구조주의의 문제틀로 바울 서신을 고찰하려 하였다. 이제, 신학교에서 주로 어느 특정한 ‘방법’(현미경)이나, 목회와 기독교에서 주로 사용하는 ‘해석학적 원리’(안경)를 사용하기 보다는, 오히려 위의 두 영역에서가 아니라 인문계에서 주로 사용하였던  탈식민주의와 탈구조주의의 문화이론, 비평, 읽기 방식(만화경)을 사용하게 되었다. 이러한 관점에 의하면, 바울 사상을 신학적 원리나 교리로 보게 되기보다는 담론, 수사적 언어, 텍스트성, 문화비평 전략을 중요시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문화비평 전략(strategy of cultural criticism: 문화전략)은  신학적, 해석학적 원리나 엄격한 비평 방법보다도 본문과 저자와 독자의 만남의 과정에서 드러나는 정치문화적 맥락과 사회적, 문화적 위치를 중요시하는 문화비평적 읽기(cultural reading)의 전략을 가장 중요시 한다. 또한 우리는 이 책에서 역사기술방법을 탈식민주의의 관점에서 사용하게 되면 중심/주변성, 이원론/일원론, 보편성/특수성, 모방/혼성성, 주체/타자, 여성성/남성성, 권력/저항, 근대성/탈근대성, 민족/제국의 문제 등의 주제를 더 중요시하면서 탐구할 수 있게 된다.
        위에서 제기한 책의 저작 동기, 목적와 방법에 입각해서 필자는 I장에서는 탈식민주의 문화 이론과 탈구조주의의 기초 개념과 비평 방법과 읽기 방식을 ‘이론’의 수준에서 소개하기 위해서 영, 몸, 의의 바울신학의 구조와 그 형성 발전 단계, 자유, 연대, 평화, 생명 등의 바울 윤리의 핵심 쟁점, 고대철학과의 비교 등을 다양하게 제시하였다. 또한 II장과 III장과 IV장에서는 바울의 서신 각각에서의 신학, 윤리, 문화비평 전략이 생성되는 과정을 탈식민주의 문화이론에 근거한 ‘비평’와 ‘읽기’ 수준에서 탐구하였다. II 장에서는 고린도전서에 나타난 종교문화 신학, 비움의 문화윤리, 저항(resistance)의 문화비평 전략을, III 장에서는 로마서에 나타난 정치문화 신학, 참여의 정치윤리, 교섭(negotiation)의 문화비평 전략을, IV장에서는, 데살로니가, 갈라디아서, 빌립보서에 나타난 사회문화 신학, 연대의 정치윤리, 전이(translation)의 문화비평 전략을 각각 재구성하고자 하였다. 마지막 V 장에서는 위에서 제시된 바울의 문화신학과 정치윤리를 탈구조주의적/탈식민주의적 통찰에 의해서 미국 주도의 신자유주의 자본주의 제국과 이와 직접 연계된 한국 사회와 교회의 구체적 현실에 적용하여 제시하였다.

목록